강아지 인식표 종류/장단점/해야하는 이유 총정리

 

 

국내 강아지 양육 가구가 500만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되었습니다. 10가구 중 2.5가구가 강아지를 기르고 있는 셈입니다.

 

이제 강아지와 사람은 너무나도 당연하게 공존하는 사회가 되었습니다. 늘어나는 강아지의 수만큼 이와 관련된 정부의 정책과 제도가 다양한데요.

 

목차

 

정부의 반려견 정책

동물 등록제

강아지 인식표 종류, 장단점

 

 

 

정부의 반려견 정책?

 

정부에서 정한 제일 대표적인 정책은 '동물등록제'입니다. 강아지의 보호와 유실·유기 방지를 위해 자신의 강아지를 전국 시·군·구청에 등록하도록 의무화한 제도입니다.

 

현재 '동물등록제' 해당 대상은 주택이나 준주택에서 기르거나 그 외의 장소에서 반려목적으로 기르는 2개월 이상된 강아지입니다. 그래서 반려견 등록제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2개월령이 되는 날부터 30일 이내에 지자체에 등록해야하며, 희망 시 2개월령 이하인 경우에도 등록이 가능합니다.

 

반려동물 등록은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비교적 쉽게 등록이 가능하며, 등록을 하지 않을 경우 과태료가 부과되며, 공공 반려견 놀이터나 운동장 등의 시설을 이용하는데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정부는 매년 반려동물 등록 자진신고기간을 운영하고 있으며, 등록을 하지않을 경우 100만원 이하, 변경 신고를 하지 않을 경우 5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강아지 인식표 종류

 

 

 

 

최근 강아지 양육인구가 늘어난 만큼 그에 맞는 다양한 강아지용품이 많이 생겼는데요. 강아지 인식표 또한 실용성과 디자인을 고려한 많은 제품들이 나와있습니다.

 

인식표는 대표적으로 내장칩, 외장칩 그리고 일반적인 인식표 등 3가지로 나뉩니다. 각 인식표마다 장·단점이 있으며, 강아지의 성향과 특징에 맞게 선택을 하시면 됩니다.

  • 내장칩

아주 작은 칩을 강아지의 몸속에 넣는 방법입니다. 목에 주렁주렁 달고 다니지 않아도 되고 크기가 작아서 목걸이를 불편해하는 예민한 소형 강아지에게 적합한 인식표입니다.

 

체내 이물 반응이 없는 재질로 코딩된 쌀알만한 크기의 동물 의료기기로, 간혹 삽입한 부위에 트러블이 생기거나 여러 부작용의 사례가 보고되어 망설이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영국 수의사회 연구결과 부작용은 0.01%로 아주 희박하며, 오히려 장점이  많다고 보고되었는데요. 결국 인식표는 보호자님의 선택이므로 상황에 맞게 선택하시면 됩니다.

 

기술이 발전하면서 제품도 점점 좋아지고 있고 위험성이 낮아지고 있다고 하니 안심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 외장칩

 

 

 

 

외장칩은 목걸이 형태로 된 칩이며, 내장칩과 달리 몸속에 넣을 필요가 없어서 피부 트러블이나 부작용의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됩니다. 

 

칩이 고장 나도 바로 조치가 가능하며, 내장칩보다 인식이 더 잘된다고 합니다. 하지만 무게가 가볍지 않은 편이라 작은 소형견들이 달고 다니기에는 부담스러운 면이 있습니다.

 

외장칩은 외부에 노출되어있기 때문에 어딘가에 부딪혀서 망가지거나 떨어져 분실될 위험이 있습니다.

 

그래도 최근에는 무게도 많이 줄어들고 사이즈도 잘 맞게 나온다고 하니 좋은 제품을 찾아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일반 인식표(목걸이)

인식칩이 들어있지 않고 강아지의 이름, 등록번호, 보호자의 이름, 연락처를 기재하는 가장 심플한 목걸이 형태입니다. 가격이 싸고 부담이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칩은 스캐너가 있는 곳에 가서 확인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지만 일반적인 인식표는 바로 확인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외장칩과 마찬가지로 목걸이를 하는 것에 예민한 강아지들이 불편함을 느끼게 되며,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서 분실의 위험이 크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2020년 8월 21일 이후로 일반 인식표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은 금지되었습니다. 아무래도 훼손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동물 유실 사례가 많아져 결정된 사항으로 추정됩니다.

 

최근에는 내장칩과 인식표를 같이 이용하는 분들이 많아진 추세입니다. 아무래도 하나만으로는 안심하기 힘들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아진 것으로 보입니다.

 

유기되거나 유실되는 강아지의 수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2022.09.03 - [강아지 건강 story] - 강아지 혈뇨(피 오줌) 원인/해결방안 총정리

 

강아지 혈뇨(피 오줌) 원인/해결방안 총정리

강아지의 소변에서 갑자기 피가 섞여나와서 놀라셨나요? 항상 건강을 유지했으면 하는 우리 강아지가 큰 병이라도 걸렸을까 굉장히 초조하실텐데요. 강아지가 혈뇨 증상을 보이는 이유와 해결

animal.stem-cell.co.kr

인식표도 중요하지만 첫째, 잃어버리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